중국군은 중국의 군대다.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군대를 뜻하지만 과거에 중국군 이름을 가지고 있던 군대는 여럿 있었다.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붕괴하자 각 지역에 퍼져있던 군관들은 중국 대륙의 실권을 잡기 위해 여러 군벌로 나뉘어 내전을 시작했다. 이는 신생 중화민국의 엄청난 취약점이었다. 군벌들이 저마다 외국 열강들과 복잡한 외교관계를 만들고 대륙에 외국계 세력들이 발을 들이게 했기 때문이다. 이에 광둥성에 있던 국민당은 공산당과 국공합작을 맺고 외국의 지원을 받으며 당군인 국민혁명군(1)을 앞세워 대대적인 통일에 나선다. 이를 북벌이라고 하며 북양군벌과의 동북역치를 끝으로 중국은 외형적으로나마 통일된다.
난창 폭동으로 창설된 공산당의 공농홍군(2)은 사실 군벌시대 내내 국민당과 반목하며 서로 싸웠다. 이들은 대개 만주 지역에 느슨하게 퍼져 있었는데 제2차 국공합작으로 팔로군과 신사군이라는 이름으로 국부군에 합류하게 된다.
당시에 중국군은 국민혁명군이었으며, 이들은 중일전쟁에서 일본군과 치열하게 싸우며 미국과 공조한 끝에 일본의 항복을 받아낸다. 종전 이후 국민혁명군은 1947년에 중화민국 국군으로 개칭하여 당군에서 국군으로 전환된다. 그렇지만 곧바로 국공내전이 발발하며 중화민국 국군과 중국 인민해방군과의 전쟁이 시작되었고 여기서 공산당이 승리하며 중화민국은 대만으로 국부천대를 하게 된다.
중국 대륙을 공산당이 완전히 점령하고 국민당은 대만으로 쫓겨났기 때문에 현재는 인민해방군을 중국군으로, 중화민국 국군은 대만군으로 부르고 있다. 물론 대만 내에서는 중화민국 국군이라는 명칭을 고수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중국군이 된 인민해방군은 대륙 점령 후 90년대까지 지리멸렬한 모습을 보이다가 21세기부터 급격한 현대화에 착수하기 시작했다. 그로 인해 아시아 최강국이었던 일본마저 압도하는 전력을 갖추게 되었으며 현재 미국의 가장 큰 군사적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소결렬 이후 상당히 관계가 소원해졌던 러시아와의 외교도 21세기 들어서부터 오히려 돈독해지는 추세이며 러시아, 이란과 함께 반서방 3대 축으로 평가된다.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붕괴하자 각 지역에 퍼져있던 군관들은 중국 대륙의 실권을 잡기 위해 여러 군벌로 나뉘어 내전을 시작했다. 이는 신생 중화민국의 엄청난 취약점이었다. 군벌들이 저마다 외국 열강들과 복잡한 외교관계를 만들고 대륙에 외국계 세력들이 발을 들이게 했기 때문이다. 이에 광둥성에 있던 국민당은 공산당과 국공합작을 맺고 외국의 지원을 받으며 당군인 국민혁명군(1)을 앞세워 대대적인 통일에 나선다. 이를 북벌이라고 하며 북양군벌과의 동북역치를 끝으로 중국은 외형적으로나마 통일된다.
난창 폭동으로 창설된 공산당의 공농홍군(2)은 사실 군벌시대 내내 국민당과 반목하며 서로 싸웠다. 이들은 대개 만주 지역에 느슨하게 퍼져 있었는데 제2차 국공합작으로 팔로군과 신사군이라는 이름으로 국부군에 합류하게 된다.
당시에 중국군은 국민혁명군이었으며, 이들은 중일전쟁에서 일본군과 치열하게 싸우며 미국과 공조한 끝에 일본의 항복을 받아낸다. 종전 이후 국민혁명군은 1947년에 중화민국 국군으로 개칭하여 당군에서 국군으로 전환된다. 그렇지만 곧바로 국공내전이 발발하며 중화민국 국군과 중국 인민해방군과의 전쟁이 시작되었고 여기서 공산당이 승리하며 중화민국은 대만으로 국부천대를 하게 된다.
중국 대륙을 공산당이 완전히 점령하고 국민당은 대만으로 쫓겨났기 때문에 현재는 인민해방군을 중국군으로, 중화민국 국군은 대만군으로 부르고 있다. 물론 대만 내에서는 중화민국 국군이라는 명칭을 고수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중국군이 된 인민해방군은 대륙 점령 후 90년대까지 지리멸렬한 모습을 보이다가 21세기부터 급격한 현대화에 착수하기 시작했다. 그로 인해 아시아 최강국이었던 일본마저 압도하는 전력을 갖추게 되었으며 현재 미국의 가장 큰 군사적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소결렬 이후 상당히 관계가 소원해졌던 러시아와의 외교도 21세기 들어서부터 오히려 돈독해지는 추세이며 러시아, 이란과 함께 반서방 3대 축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