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개봉 전 정보
2.1. 제작 발표
3. 포스터
3.1. 만우절 포스터
4. 예고편
4.1. 기타 예고편
5. 시놉시스
6. 등장인물 및 성우진
7. 배경
8. 줄거리
9. 명대사
10. 음악
10.1. 사운드트랙
10.2. 삽입곡
11. 평가
12. 흥행
12.1. 대한민국
13. 수상
14. 미디어 믹스
14.1. BD / DVD
15. 굿즈
16. 이벤트
16.1. 배경화면
17. 패러디
18. 기타
19. 외부 링크
20. 둘러보기
1. 개요
2. 개봉 전 정보
2.1. 제작 발표
3. 포스터
3.1. 만우절 포스터
4. 예고편
4.1. 기타 예고편
5. 시놉시스
6. 등장인물 및 성우진
7. 배경
8. 줄거리
9. 명대사
10. 음악
10.1. 사운드트랙
10.2. 삽입곡
11. 평가
12. 흥행
12.1. 대한민국
13. 수상
14. 미디어 믹스
14.1. BD / DVD
15. 굿즈
16. 이벤트
16.1. 배경화면
17. 패러디
18. 기타
19. 외부 링크
20. 둘러보기
1. 개요 ✎ ⊖
2022년 11월 11일에 일본에서 개봉한 신카이 마코토의 애니메이션 영화. 국내에서는 2023년 3월 8일, IMAX, Dolby Cinema 포맷 동시 개봉이 확정되었으며, 3월 22일 4DX 개봉이 확정되었다.
2. 개봉 전 정보 ✎ ⊕
2.1. 제작 발표 ✎ ⊖
2021년 12월 15일, 신카이 마코토 감독은 트위터를 통해 차기작의 영화 제목과 1차 공식 포스터를 공개하였다. #
같은 날 23시, 도호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스즈메의 문단속' 제작 발표 회견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발표 회견에는 너의 이름은.에서 미야미즈 미츠하역을 맡았던 카미시라이시 모네와 날씨의 아이에서 아마노 히나역을 맡았던 모리 나나가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신카이 마코토 감독에 따르면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는 로드무비' , '문을 여는것이 아닌, 닫으러 가는 이야기' , '영화관을 찾는 이유가 될 만한 작품 만들기를 목표'로 한 작품이라고 한다. 또한 여주인공이 싸우는 액션 영화라는 언급도 있었다. 귀멸의 칼날과 주술회전을 보고 액션을 해보고 싶어졌다고 한다. 신카이 작품 중 액션 전문 애니메이터가 가장 많이 참가한 작품이 되었다. 그리고 더 퍼스트 슬램덩크 또한 한국에서 대흥행했기에 슬램덩크를 이기고 싶다고 언급하였다.
전작인 너의 이름은.과 날씨의 아이와는 세계관이 연결되진 않으며, 새로운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새로운 작품이라고 한다. 다만, 앞선 두 작품의 캐릭터들의 등장여부에 대해서는 기자회견에서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아 느슨하게나마 연결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1)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2021년 송별사에 따르면, 이 작품의 제작에 난항을 겪고 있으며, 콘티 단계에서부터 유례없는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2)(3)
【토크 노컷】 신카이 마코토 감독 최신작 '스즈메의 문단속' 제작 발표 회견 |
'스즈메의 문단속' 제작 발표 회견의 무대 뒤 |
같은 날 23시, 도호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스즈메의 문단속' 제작 발표 회견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발표 회견에는 너의 이름은.에서 미야미즈 미츠하역을 맡았던 카미시라이시 모네와 날씨의 아이에서 아마노 히나역을 맡았던 모리 나나가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신카이 마코토 감독에 따르면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는 로드무비' , '문을 여는것이 아닌, 닫으러 가는 이야기' , '영화관을 찾는 이유가 될 만한 작품 만들기를 목표'로 한 작품이라고 한다. 또한 여주인공이 싸우는 액션 영화라는 언급도 있었다. 귀멸의 칼날과 주술회전을 보고 액션을 해보고 싶어졌다고 한다. 신카이 작품 중 액션 전문 애니메이터가 가장 많이 참가한 작품이 되었다. 그리고 더 퍼스트 슬램덩크 또한 한국에서 대흥행했기에 슬램덩크를 이기고 싶다고 언급하였다.
전작인 너의 이름은.과 날씨의 아이와는 세계관이 연결되진 않으며, 새로운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새로운 작품이라고 한다. 다만, 앞선 두 작품의 캐릭터들의 등장여부에 대해서는 기자회견에서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아 느슨하게나마 연결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1)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2021년 송별사에 따르면, 이 작품의 제작에 난항을 겪고 있으며, 콘티 단계에서부터 유례없는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2)(3)
3. 포스터 ✎ ⊖
론칭 포스터 | |
1차 포스터 | |
일본 개봉 메인 포스터 | 어서와요 포스터 |
'너에게 달려갈게' - 4DX 포스터 |
3.1. 만우절 포스터 ✎ ⊖
CGV 2023년 만우절 포스터 | 메가박스 2023년 만우절 포스터 |
4. 예고편 ✎ ⊖
론칭 예고편 |
국내 론칭 예고편 |
스즈메 성우 하라 나노카 눈물의 인터뷰 |
1차 예고편 |
국내 1차 예고편 |
2차 예고편 |
2차 추가 예고편 |
국내 2차 예고편 |
PV : 다녀오겠습니다 |
4.1. 기타 예고편 ✎ ⊕
5. 시놉시스 ✎ ⊖
“이 근처에 폐허 없니? 문을 찾고 있어”
규슈의 한적한 마을에 살고 있는 소녀 ‘스즈메’는
문을 찾아 여행 중인 청년 ‘소타’를 만난다.
그의 뒤를 쫓아 산속 폐허에서 발견한 낡은 문.
‘스즈메’가 무언가에 이끌리듯 문을 열자 마을에 재난의 위기가 닥쳐오고
가문 대대로 문 너머의 재난을 봉인하는 ‘소타’를 도와 간신히 문을 닫는다.
“닫아야만 하잖아요, 여기를!”
재난을 막았다는 안도감도 잠시,
수수께끼의 고양이 ‘다이진’이 나타나 ‘소타’를 의자로 바꿔 버리고
일본 각지의 폐허에 재난을 부르는 문이 열리기 시작하자
‘스즈메’는 의자가 된 ‘소타’와 함께 재난을 막기 위한 여정에 나선다.
“꿈이 아니었어”
규슈, 시코쿠, 고베, 도쿄
재난을 막기 위해 일본 전역을 돌며 필사적으로 문을 닫아가던 중
어릴 적 고향에 닿은 ‘스즈메’는 잊고 있던 진실과 마주하게 되는데…
줄거리
6. 등장인물 및 성우진 ✎ ⊖
7. 배경 ✎ ⊖
8. 줄거리 ✎ ⊖
9. 명대사 ✎ ⊖
かけ(1)ま(2)くもかしこき(3)(4)日不見(5)の神よ。
아뢰옵기도 송구한 히미즈의 신이시여.
遠つ御祖の産土(6)よ。
머나먼 선조의 고향 땅이여.
久しく拝領つかまつったこの山河、
오래도록 배령한(7) 산과 하천,
かしこみかしこみ、謹んでお返し申す。
경외하고 경외하오며, 삼가 돌려드리옵나이다.(8)
무나카타 소타(1)비교하다, 말을 걸다, 눈에 담다 등의 뜻을 가진 고어(古語) 동사 懸く의 미연형
(2)고어 추측의 조동사 む의 미연형
(3)두렵다, 고귀하다라는 뜻의 고어 형용사 かしこし의 연체형(かしこき)
(4)만요가나로는 掛介麻久母畏伎로 표기하며 신사의 신관이 축사(노리토)를 읊을 때 가장 먼저 등장하는 단골 문구이다.
(5)해를 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두더지를 의미한다.
(6)태어난 땅 혹은 그 땅을 수호하는 토지신(産土神)을 뜻한다.
(7)공경하는 마음으로 삼가 받다
(8)땅을 돌려준다는 말은 신카이 감독이 떠올린, 사람들이 살아가는 땅에 대한 독특한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감독은 이번 영화에서 '장소를 애도하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다며 새로운 건축물을 만들 때는 씨족신에게 기도를 바치며 토지를 사용하기 위한 허가를 받기 위해 지진제#를 행하는데 '끝날' 때에는 사람에게 장례를 치르는 것과 같은 의식이 없다고 한 적이 있다.# 따라서 돌려준다는 말은 사람의 혼과 마찬가지로 잠시 부여 받은 것을 돌려준다는 뜻으로 해석 가능하다.
[ 스포일러 ]
命がかりそめだとは知っています。
목숨이 덧없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死は常に隣にあると分かっています。それでも私たちは願ってしまう。
죽음이 항상 곁에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저희는 기원합니다.
いま一年、いま一日、いまもう一時だけでも、私たちは永らえたい。
앞으로 1년, 앞으로 하루, 아니 아주 잠시라도 저희는 오래 살고 싶습니다.
猛き大大神よ!
용맹하신 큰 신이여!
お頼み申します!
부디 부탁드리옵나이다!
무나카타 소타
있지, 스즈메
너는 분명 누군가를 좋아하게 될 것이고
널 좋아하게 될 누군가와 많이 만나게 될 거야.
지금은 한없이 새까만 어둠 속이지만,
언젠가는 꼭 아침이 와.
아침이 오고, 다시 밤이 오고,
그것을 몇 번이고 반복하다 보면
넌 어느새 빛 속에서 어른이 되어 있을 거야.
틀림없이 그렇게 돼.
그렇게 되도록 다 정해져있어.
앞으로 무슨일이 일어나도
아무도 스즈메를 방해할 수 없어.
너는 빛 속에서 어른이 될 거야!
언니는 누구야?
나는, 스즈메의 내일이야.
미래의 스즈메가 과거의 스즈메에게
10. 음악 ✎ ⊖
10.1. 사운드트랙 ✎ ⊖
10.2. 삽입곡 ✎ ⊖
- 체커즈의 '들쭉날쭉 마음의 자장가(ギザギザハートの子守唄)'
- 고 히로미의 '2억 4천만의 눈동자(2億4千万の瞳)'
- 요시 이쿠조의 '나 도쿄에 갈란다'
- 나카지마 미유키의 '실(糸)'
- 히노 미카&아오이 시로의 '남자와 여자의 러브게임(男と女のラブゲーム)'
- 고다이고의 '은하철도999'(5)
- 아라이 유미의 '루즈의 전언(ルージュの伝言)'(6)
- 마츠다 세이코의 'Sweet Memories'
- 이노우에 요스이의 '꿈 속으로(夢の中へ)'(7)
- 사이토 유키의 '졸업(卒業)'
- 고쿠쇼 사유리의 '발렌타인데이 키스(バレンタインデイ-キッス)'
- 카와이 나오코의 '싸우지 말아요(けんかをやめて)'
[ 스포일러 ]
대부분의 노래가 일본에서 국민적으로 사랑받았던 곡들인데, 감독에 따르면 이는 현실과 영화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다. 영화 중후반 즈음부터 이야기가 판타지스럽게 변하다 보니 관객이 이 내용을 오로지 상상 속의 세계라고만 받아들일 것 같았다고 한다. 하지만 후반에 도호쿠 지역에 가까워질수록 진짜 현실처럼, 우리가 당장 살아가는 세상처럼 느끼게 해야 했다. 그래서 예전에 들어본 적 있는 가요와 팝송을 넣어서 관객의 무의식에 “이곳은 우리가 살아왔고, 살아가는 세계야”라고 알려주려 했다는 것. 마지막 스즈메의 일기장에 2011년 3월 11일이 나온 순간, 관객이 판타지에서 벗어나 우리의 현실을 완전히 인지하는 구조로 설계했다.#
11. 평가 ✎ ⊖
12. 흥행 ✎ ⊖
12.1. 대한민국 ✎ ⊖
13. 수상 ✎ ⊖
- 제73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8)
- 제46회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애니메이션 작품상(9)
14. 미디어 믹스 ✎ ⊖
14.1. BD / DVD ✎ ⊖
15. 굿즈 ✎ ⊖
16. 이벤트 ✎ ⊖
16.1. 배경화면 ✎ ⊖
롯데시네마에서는 '랜선굿즈'라는 이름으로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일부 장면들을 배경화면으로 만들어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 배경화면 이미지 적용을 원할 경우, PC에서는 이미지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 올려 둔 뒤,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사진 저장]을 클릭하고, 모바일에서는 이미지를 길게 눌러 [이미지 다운로드]를 눌러 배경화면 이미지를 저장 후 사용하도록 하자.
1주차 배경화면 [ 공지 내용 펼치기 · 접기 ][ PC ][ 태블릿 ][ 모바일 ][ 스마트워치 ] |
2주차 배경화면 [ 공지 내용 펼치기 · 접기 ][ PC ][ 태블릿 ][ 모바일 ][ 스마트워치 ] |
3주차 배경화면 [ 공지 내용 펼치기 · 접기 ][ 모바일 ][ 스마트워치 ] |
4주차 배경화면 [ 공지 내용 펼치기 · 접기 ][ 스마트워치 ] |
※ 배경화면 이미지 적용을 원할 경우, PC에서는 이미지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 올려 둔 뒤,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사진 저장]을 클릭하고, 모바일에서는 이미지를 길게 눌러 [이미지 다운로드]를 눌러 배경화면 이미지를 저장 후 사용하도록 하자.
17. 패러디 ✎ ⊖
스즈메의 문단속이 흥행하는 탓에 공식 매체건 비공식 매체건 패러디들이 생겨나고 있다.
18. 기타 ✎ ⊖
- '문단속'이 테마이어선지 열쇠로 무언가를 잠그는 클로즈업 장면이 많다.
- 일본 현지 개봉판과 해외 개봉판에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극 중에 지진 경보음이 자주 나오게 되는데 이것에 대한 안내 사항을 고지한 후에 시작한다. 일단 픽션이다보니 똑같은 효과음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유사하게 나오기 때문에 일본인 또는 현지 거주민들에게 있어 상당한 불쾌감이나 PTSD를 일으킬 수 있기에 양해 메시지를 띄운 것이다.(13) 해외판에서는 이 부분이 삭제되어 바로 영화가 시작된다.
- 일본 맥도날드와의 콜라보로, 콜라보 CF 공개와 함께 개최기간(2022년 11월 04일 ~ 2022년 12월 29일)동안 해피밀 세트를 먹으면 스즈메의 어린시절을 담은 동화책 '스즈메와 의자(すずめといす)'#를 증정했다. 【동화책 내용】 한국에서는 개봉 2주차(2023년 3월 15일 ~ 2023년 3월 21일) 특전으로 배포했으며, 내용이 모두 한글로 번역된 버전이다.#
- 제73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후보로 초청되었다. 신카이 마코토와 하라 나노카가 영화제에 참석한다.
- 신카이 마코토 감독은 너의 이름은.에서도 가만히 있으라는 방송 장면이 세월호 참사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 맞다고 인정하는 등 한국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밝힌 적이 있는데, 이 작품에서도 문을 사용하는 설정은 한국 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내한 기사】
- 한국 개봉일의 경우 공교롭게도 3일 뒤인 2023년 3월 11일은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지 12년이 되는 날이다.
- 작중 시점은 2023년 9월로, 개봉 시점보다 미래라는 것은 날씨의 아이(2019년 개봉, 작중 시점 2021년) 때와 동일하다. 아무래도 작중 도쿄 문단속 장면에서 언급이 되는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날이 정확히 100년 전의 1923년 9월이었던 점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 작중 등장하는 지역들은 모두 현실에서 재난이 있었던 곳이거나 그 인근이다.(14) 스즈메의 거주지이자 출발지인 첫 지역 미야자키현(규슈)은 직접적인 피해 지역은 아니지만 2016년 구마모토 지진이 있었고, 두 번째 지역 에히메현(시코쿠)에서 잠깐 언급되는 ‘3년 전의 산사태’역시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2020년 7월 일본 서남부 지역에 전례 없는 폭우가 덮쳐 산사태로 마을이 통째로 사라지고, 하천이 범람하여 궤멸적인 피해를 입은 적이 있다.(15) 세 번째 방문지 고베(효고현, 여기서부터는 혼슈)는 말할 것도 없이 그 유명한 1995년의 효고현 남부 지진(16) 피해지역이고, 네 번째 방문지 도쿄도 작중 시점에서 딱 백 년 전인, 작중에서도 언급된 1923년에 관동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었던 지역. 그리고 후쿠시마현, 미야기현을 거쳐 이와테현이 바로 여행의 종착지이자 스즈메의 고향인데, 다름아닌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도호쿠 대지진)피해 지역. 배경지 설정 의도가 다분히 엿보인다. 감독도 해당 재해들을 언급하며 인정했다. 특히 도호쿠지방에 대해, 신카이 마코토 감독은 "동일본 지역에 궤멸적인 피해를 입힌 재앙을 이후의 젊은 세대에게도 알려 주고 싶었다"는 이야기를 전한 바 있다.
제작 초반까지만 해도 잔존하는 슬픔과 상처를 영화로 다뤄도 될지, 또 일본 관객이 이를 허용해줄지 의문이 들고 불안했다고 한다. 무엇보다 시대적·세대적 트라우마를 남긴 큰 재해이기 때문에 이 영화를 보고 상처받는 사람이 있을 수 있어 걱정이 앞섰다고. 하지만 대지진이 일어나고 12년이 지난 지금 이 이야기를 다루지 않으면 너무 늦어질 것 같았으며,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동일본 대지진을 다루지 않고 넘어가는 것도 부자연스럽다는 생각에 작업을 시작했다고 한다. 또 남쪽이자 서일본에서 출발해 북쪽이자 동일본에 닿는 여정은, 실제 실향민들도 동쪽에서 서쪽으로 많이 이주했기에 이러한 실향의 아픔을 되짚어나가고자 한 의도가 담겨 있다.
- 관에 따라 자막 차이가 있다. 인트로와 아웃트로의 '스즈메의 문단속' 글자가 한국어로 나오는 관(17)과 일본어로 나오는 관(18)이 다르고, 일반관과 각 특별관의 자막 색(19), 사소한 부연 자막의 차이(20) 가 존재한다.
- 작중 스즈메가 소타를 구하러 가기로 결심한 후 소타 없는 소타 집에서 샤워를 하고 옷을 입은 후 머리를 묶는 장면은 너의 이름은의 미츠하가 머리를 묶는 장면의 오마주이다.
- 국내 자막판의 번역은 강민하, 제작은 마젤란미디어팩토리에서 담당하였다.
- 다양한 PPL이 나오는데 맥도날드, 스포티파이, 하루타(23), 산토리, 혼다, 야마토 운수, 쿠보타, 닛신등 여러가지가 나온다. 산토리는 루미의 스낵바에 야마자키와 하쿠슈가 라벨까지 떡 하니 붙여서 나오고 하루타는 박스까지 나온다. 다만 세이코는 스폰서가 아닌지 BEIKO로 바뀌어 나온다.
- Apple Pay를 이용하는 장면이 나온다.(24)(페리선의 자동판매기, 전철역 통과시의 Apple Pay 모바일 Suica)
- 미디어캐슬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된 2차 예고편의 조회수가, 그 이전에 엄청난 충격과 공포를 선사하며 채널 영상 조회수 1위를 6년 씩이나 유지하고 있던 너의 이름은 더빙판 티저 예고편을 넘어서며 미디어캐슬 공식 유튜브 조회수 1위 영상 타이틀을 차지하였다.
- 감독의 전작인 언어의 정원과 마찬가지로 이 작품도 일본의 전통 민속, 특히 신토 신앙에 대한 배경이해가 있으면 좀 더 깊이 감상할 수 있다.
- 예컨대 본작에서 토지시가 미미즈를 가둘 때 외는 주문은 "'아뢰옵기도 황공한' 신에게 '~돌려드립나이다'"라고 말하는 형식으로 짜여져 있는데, 이는 신사를 폐할 때 거행하는 '승신식'과 같은 맥락이다. 일본 신토 신앙에서 신은 하늘에 있고 신사에 있는 신체(신위)에 강림한다고 여겼는데, 진좌식은 새로 만든 신사의 신체에 신을 깃들게 하는 의식이고 승신식은 이를 하늘로 돌려보내는 의식이다. 역사적으로는 일제강점기 서울에 있었던 조선신궁이 진좌식과 승신식을 다 겪고 해체된 바 있다.
마치 인도 신화의 시바신과도 흡사한 이런 신의 양면성을 신도에서는 아라타마(荒玉)와 니기타마(和魂)#라고 하며 신도에서 제사(마츠리)를 벌이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19. 외부 링크 ✎ ⊖
20. 둘러보기 ✎ ⊖
분류 : 스즈메의 문단속 | 일본 애니메이션/목록
(1)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두 작품 모두 전작의 캐릭터들이 카메오로 등장했지만 작중 배경들을 생각하면 같은 세계관으로 보기는 어렵다. 또한, 과거 별의 목소리에서의 시리우스의 행성 이름이었던 마치 이세계와도 같은 '아가르타'를 별을 쫓는 아이에서 지구공동설을 기반으로 한 이세계의 이름으로 사용한 사례가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연결점을 만들 수도 있다. 스즈메의 문단속도 이와 비슷할 것으로 추측된다.
(2)이 작품에 정말로 자신이 없는 듯한 뉘앙스로 말을 하고 있다.
(3)2023년 3월 8일 한국 시사 무대인사중 집에서 일년 반 동안 혼자 집에서 비디오콘티를 짰다고 감독이 직접 밝혔다. 그 덕에 감독이 콘티에 대사를 넣기 위해 연기를 직접 할 때 부인과 딸이 놀라서 방으로 뛰어들어왔다는 에피소드를 전했다.
(4)다이진이 세토 대교를 건널 때 뉴스에서 사용된 배경음악
(5)신코베역 앞에서 스즈메와 루미가 헤어지는 장면. 산요 신칸센의 하행 방향 발차 멜로디 버전이 삽입되었다.
(6)마녀 배달부 키키 OST로도 수록된 곡이다.
(7)그 남자 그 여자 엔딩곡으로도 리메이크 되었고, 이 리메이크곡이 한국에서도 번안이 되었다.
(8)최종적으로는 본상 미수상(무관)이지만, 초청 자체로 큰 업적이다.
(9)최우수상은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가져갔다.
(10)제목을 이 작품과 비슷하게 지었다. 스드메는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을 뜻한다.
(11)에로 영화이다. 결국 청불 판정을 받았다.
(12)전북 현대의 처참한 경기력에 분노한 팬들이 버스를 막았지만 김상식 감독이 어떤 해명도 없이 버스 문을 굳게 잠그고 커튼까지 내려가면서 2시간을 버틴 것을 풍자하는 내용이다.
(13)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이러한 공지사항을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14)때문에 당시 재난을 실제로 겪은 이들이 영화를 관람하고 PTSD를 호소하자, 이후 표를 구매하는 곳에서 동일본 대지진 관련 묘사가 영화 내 존재한다는 메세지를 삽입했다. 물론 감독도 어느 정도는 신경을 써서 실제 실향민 피해자들이 상처받지 않는 방식이 무엇인지 오랫동안 고민했다고 한다. 쓰나미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는 일절 넣지 않았고,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순간도 스즈메의 일기장 속 음성같이 청각적으로만 표현한 것이 그 때문이라고 한다. 스즈메의 경험과 감정은 그 자체로 진실되게 보여주려 했으며, 이 현실적인 감정은 스즈메의 모험이 시작돼야만 하는 당위성을 납득시킬 중요한 배경이면서 관객이 재해를 직접 겪지 않더라도 영화의 의미와 재해의 아픔을 이해할 수 있는 열쇠이기도 하기 때문이었다.#
(15)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자연재해다. 산사태, 하천 범람, 도로 파괴, 침수, 교량 유실 등 호우로 인한 문제가 심각했고 특히 에히메현과 히로시마현의 피해가 극심했다.
(16)속칭 고베 대지진. 일본에서는 한신 아와지 대지진이라고도 불린다.
(17)일반관, CGV 4DX관 등
(18)Dolby Cinema관, IMAX관 등
(19)일반관의 노래 가사 자막은 흰색, Dolby Cinema관은 회색, IMAX관은 노란색이다
(20)고베 술집에서 사사키 씨의 키핑 술병을 찾을 때 등
(21)단, 신카이 마코토의 최초 작품인 그녀와 그녀의 고양이에서는 그녀 혹은 고양이라고 등장하기 때문에 예외다.
(22)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스즈메의 문단속 개봉 기념으로 방한하여 관객 질문을 진행하였을 때 한 관객이 “이 작품이 주인공의 이름이 들어가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라고 질문하자 감독은 이번 작품은 스즈메의 시점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작품이기 때문에 스즈메의 이름을 작명에 넣었다 답변하였다.
(23)일본에서 유명한 구두회사로, 학생들의 로퍼로 많이 선택되고 직장인들도 많이 신는다. 한국에선 NewJeans가 Ditto 뮤직비디오에서 신고 나와 유명해졌다.
(24)공교롭게도 영화 한국 개봉 후 절찬상영 시기에 한국에서도 Apple Pay가 3월 21일날 정식출시를 하였다.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