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신카이 마코토 감독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작품)

(틀:스즈메의 문단속)
스즈메의 문단속 (2022)
すずめの戸締(とじ)まり
Suzume
file:스즈메의 문단속한국메인포스터.webp
작품 정보 ▼
장르판타지, 로맨스, 어드벤처, 재난, 드라마
원작신카이 마코토
각본
감독
콘티
색채 감수
편집
조감독미키 요코(三木陽子)(1)
특수 효과
기획카와무라 겐키
프로듀스
제작카와구치 노리타카(川口典孝)
캐릭터 디자인타나카 마사요시
작화 감독츠치야 켄이치(土屋堅一)(2)
연출이무라 켄지, 시모다 마사미, 이노우에 에이(井上 鋭), 나가하라 케이타
원화니시무라 타카요(西村貴世), 타무라 아츠시, 이토 히데츠구, 우에노 치요코, 쿠로사와 케이코, 호리 타카후미, 마스다 히로후미, 나가하라 케이타, 하야시 유키, 이노우에 에이(井上 鋭), 히라사와 신, 쿠보타 치카시, 코바야시 나오키, 아오야마 히로유키, 게시 유야, 타케우치 시호, Moaang, 케로리라, 코바야시 케이스케, Bahi JD, 츠치야 켄이치, 니시무라 사토시
미술 감독탄지 타쿠미(丹治 匠)
CG 감독타케우치 요시타카(竹内良貴)
음향 감독야마다 하루(山田 陽)
정음
음향 효과이토 미즈키(伊藤瑞樹)
음악RADWIMPS(3)
진노우치 카즈마(陣内一真)(4)
토아카(十明)(5)
음악 프로듀서나루카와 사요코(成川沙世子)
타이틀 곡すずめ feat.十明
출연하라 나노카, 마츠무라 호쿠토
어시스턴트 프로듀서카세 미라이(加瀬未来)
이마후쿠 타로(今福太郎)
프로듀서오카무라 와카나(岡村和佳菜)
이토 키누에(伊藤絹恵)
이토 코이치로(伊藤耕一郎)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후루사와 요시히로(古澤佳寛)
제작 총괄토쿠나가 토모히로(德永智広)
제작 프로듀스STORY inc.
제작사파일:코믹스 웨이브 필름 로고.svg파일:코믹스 웨이브 필름 로고 화이트.svg
제작위원회스즈메의 문단속 제작위원회(6)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디어캐슬 로고.svg파일:미디어캐슬 로고 화이트.svg
배급사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도호 로고.svg파일:도호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쇼박스 로고 가로형.svg파일:쇼박스 로고 가로형(화이트).svg
개봉일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11월 11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2023년 3월 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3월 8일(7) (자막)
파일:투명.png 2023년 5월 17일 (더빙)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23년 3월 9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3년 4월 12일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2023년 4월 13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2023년 4월 14일
파일:인도 국기.svg 2023년 4월 21일
화면비2.35:1(8)
상영 타입파일:영화 2D 로고.png파일:영화 2D 로고 화이트.png | [width=35&theme=light파일:4DX 로고 화이트.svg]] | [width=60&theme=light파일:IMAX 로고 화이트.svg]] | 파일:Dolby Cinema 로고.svg파일:Dolby Cinema 로고 화이트.svg
상영 길이122분
제작비
월드 박스오피스$293,237,767 (2023년 4월 16일 기준)
북미 박스오피스$5,007,105 (2023년 4월 16일 기준)
일본 박스오피스$104,682,979 (2023년 3월 12일 기준)
대한민국 총 관객 수5,064,169명 (2023년 4월 29일 기준)
상영 등급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영륜 G 로고.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Australian_Classification_Parental_Guidance_(PG)(Small).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공식 홈페이지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날씨의 아이 조감독.
(2) 언어의 정원 캐릭터 디자인, 작화감독.
(3) 너의 이름은.날씨의 아이에 이어 이번에도 OST를 담당했다.
(4) 헤일로 5, 메탈기어 솔리드 4 등의 음악을 담당한 이력이 있는 작곡가이다.
(5) 본작의 메인 OST이자 이와토 스즈메의 테마곡인 스즈메(すずめ)를 불렀다.
(6) 코믹스 웨이브 필름, 도호, STORY inc., voque ting, KADOKAWA, JR 동일본 기획, 로손그룹, 애니플렉스
(7) 프리미어 상영회 2023년 2월 25일~2월 26일, 3월 4일~3월 5일
(8) 신카이 마코토 작품 중 처음으로 시네마스코프 비율을 채택했다. 별의 목소리까지의 독립 제작 시절 작품들은 1.33:1 (4:3) 화면비를,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 이후 작품들은 1.78:1 (16:9) 화면비를 사용했었다. 화면비가 꽉 차는 특별관은 메가박스 코엑스 돌비 시네마밖에 없다.

목차

1. 개요
2. 개봉 전 정보
2.1. 제작 발표
3. 포스터
3.1. 만우절 포스터
4. 예고편
4.1. 기타 예고편
5. 시놉시스
6. 등장인물 및 성우진
7. 배경
8. 줄거리
9. 명대사
10. 음악
10.1. 사운드트랙
10.2. 삽입곡
11. 평가
12. 흥행
12.1. 대한민국
13. 수상
14. 미디어 믹스
14.1. BD / DVD
15. 굿즈
16. 이벤트
16.1. 배경화면
17. 패러디
18. 기타
19. 외부 링크
20. 둘러보기

1. 개요

문의 건너편에는, 모든 시간이 있었다.
扉の向こうには、すべての時間があった。
캐치프레이즈

2022년 11월 11일에 일본에서 개봉한 신카이 마코토애니메이션 영화. 국내에서는 2023년 3월 8일, IMAX, Dolby Cinema 포맷 동시 개봉이 확정되었으며, 3월 22일 4DX 개봉이 확정되었다.

2. 개봉 전 정보

2.1. 제작 발표

2021년 12월 15일, 신카이 마코토 감독은 트위터를 통해 차기작의 영화 제목과 1차 공식 포스터를 공개하였다. #
【토크 노컷】 신카이 마코토 감독 최신작
'스즈메의 문단속' 제작 발표 회견
'스즈메의 문단속' 제작 발표 회견의 무대 뒤

같은 날 23시, 도호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스즈메의 문단속' 제작 발표 회견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발표 회견에는 너의 이름은.에서 미야미즈 미츠하역을 맡았던 카미시라이시 모네날씨의 아이에서 아마노 히나역을 맡았던 모리 나나가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신카이 마코토 감독에 따르면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는 로드무비' , '문을 여는것이 아닌, 닫으러 가는 이야기' , '영화관을 찾는 이유가 될 만한 작품 만들기를 목표'로 한 작품이라고 한다. 또한 여주인공이 싸우는 액션 영화라는 언급도 있었다. 귀멸의 칼날주술회전을 보고 액션을 해보고 싶어졌다고 한다. 신카이 작품 중 액션 전문 애니메이터가 가장 많이 참가한 작품이 되었다. 그리고 더 퍼스트 슬램덩크 또한 한국에서 대흥행했기에 슬램덩크를 이기고 싶다고 언급하였다.

전작인 너의 이름은.날씨의 아이와는 세계관이 연결되진 않으며, 새로운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새로운 작품이라고 한다. 다만, 앞선 두 작품의 캐릭터들의 등장여부에 대해서는 기자회견에서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아 느슨하게나마 연결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1)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2021년 송별사에 따르면, 이 작품의 제작에 난항을 겪고 있으며, 콘티 단계에서부터 유례없는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2)(3)

3. 포스터

론칭 포스터
1차 포스터
국내 1차 포스터(굿즈 (1))
(굿즈) 프리미어상영시 굿즈로 제공된 포스터다. 본 상영시에는 메인 포스터로 지급됐다.
일본 개봉 메인 포스터
어서와요 포스터
'너에게 달려갈게' - 4DX 포스터

3.1. 만우절 포스터

4. 예고편

론칭 예고편
론칭 예고편 공개가 끝난 이후에 트위터에서 근황 보고와 Q&A를 진행했다.
국내 론칭 예고편
스즈메 성우 하라 나노카 눈물의 인터뷰
1차 예고편
국내 1차 예고편
2차 예고편
2차 추가 예고편
국내 2차 예고편
PV : 다녀오겠습니다

4.1. 기타 예고편

5. 시놉시스

“이 근처에 폐허 없니? 문을 찾고 있어”
규슈의 한적한 마을에 살고 있는 소녀 ‘스즈메’는
문을 찾아 여행 중인 청년 ‘소타’를 만난다.

그의 뒤를 쫓아 산속 폐허에서 발견한 낡은 문.
‘스즈메’가 무언가에 이끌리듯 문을 열자 마을에 재난의 위기가 닥쳐오고
가문 대대로 문 너머의 재난을 봉인하는 ‘소타’를 도와 간신히 문을 닫는다.

“닫아야만 하잖아요, 여기를!”
재난을 막았다는 안도감도 잠시,
수수께끼의 고양이 ‘다이진’이 나타나 ‘소타’를 의자로 바꿔 버리고
일본 각지의 폐허에 재난을 부르는 문이 열리기 시작하자
‘스즈메’는 의자가 된 ‘소타’와 함께 재난을 막기 위한 여정에 나선다.

“꿈이 아니었어”
규슈, 시코쿠, 고베, 도쿄
재난을 막기 위해 일본 전역을 돌며 필사적으로 문을 닫아가던 중
어릴 적 고향에 닿은 ‘스즈메’는 잊고 있던 진실과 마주하게 되는데…
줄거리

6. 등장인물 및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메의 문단속/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7. 배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메의 문단속/배경 문서 참고하십시오.

8.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메의 문단속/줄거리 문서 참고하십시오.

9. 명대사

かけ(1)(2)くもかしこき(3)(4)日不見(ひみず)(5)(かみ)よ。
아뢰옵기도 송구한 히미즈의 신이시여.
(とお)御祖(みおや)産土(うぶすな)(6)よ。
머나먼 선조의 고향 땅이여.
(ひさ)しく拝領(はいりょう)つかまつったこの山河(やまかわ)
오래도록 배령한(7) 산과 하천,
かしこみかしこみ、(つつし)んでお(かえ)(もう)す。
경외하고 경외하오며, 삼가 돌려드리옵나이다.(8)
무나카타 소타
(1) 비교하다, 말을 걸다, 눈에 담다 등의 뜻을 가진 고어(古語) 동사 ()く의 미연형
(2) 고어 추측의 조동사 む의 미연형
(3) 두렵다, 고귀하다라는 뜻의 고어 형용사 かしこし의 연체형(かしこき)
(4) 만요가나로는 掛介麻久母畏伎(かけまくもかしこき)로 표기하며 신사의 신관이 축사(노리토)를 읊을 때 가장 먼저 등장하는 단골 문구이다.
(5) 해를 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두더지를 의미한다.
(6) 태어난 땅 혹은 그 땅을 수호하는 토지신(産土神(うぶすながみ))을 뜻한다.
(7) 공경하는 마음으로 삼가 받다
(8) 땅을 돌려준다는 말은 신카이 감독이 떠올린, 사람들이 살아가는 땅에 대한 독특한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감독은 이번 영화에서 '장소를 애도하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다며 새로운 건축물을 만들 때는 씨족신에게 기도를 바치며 토지를 사용하기 위한 허가를 받기 위해 지진제#를 행하는데 '끝날' 때에는 사람에게 장례를 치르는 것과 같은 의식이 없다고 한 적이 있다.# 따라서 돌려준다는 말은 사람의 혼과 마찬가지로 잠시 부여 받은 것을 돌려준다는 뜻으로 해석 가능하다.
すずめ、優しい、好き。
스즈메, 다정해, 좋아.
お前は…邪魔。
는…방해돼.
다이진
お返しします!
돌려드립니다!
이와토 스즈메
[ 스포일러 ]
大臣はね、すずめの子にはなれなかった。
다이진은 말이야, 스즈메의 아이는 될 수 없었어.
すずめの手で元に戻して。
스즈메의 손으로 원래대로 되돌려줘.
다이진
草太さんのいない世界が 私は怖いんです!
소타씨가 없는 세계가 전 무서워요!
이와토 스즈메
命がかりそめだとは知っています。
목숨이 덧없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死は常に隣にあると分かっています。それでも私たちは願ってしまう。
죽음이 항상 곁에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저희는 기원합니다.
いま一年、いま一日、いまもう一時だけでも、私たちは永らえたい。
앞으로 1년, 앞으로 하루, 아니 아주 잠시라도 저희는 오래 살고 싶습니다.
猛き大大神よ!
용맹하신 큰 신이여!
お頼み申します!
부디 부탁드리옵나이다!
무나카타 소타
私行ってくるよ!好きな人がいるところに。
나 다녀올게!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 곳에.
이와토 스즈메
있지, 스즈메
너는 분명 누군가를 좋아하게 될 것이고
널 좋아하게 될 누군가와 많이 만나게 될 거야.
지금은 한없이 새까만 어둠 속이지만,
언젠가는 꼭 아침이 와.
아침이 오고, 다시 밤이 오고,
그것을 몇 번이고 반복하다 보면
넌 어느새 빛 속에서 어른이 되어 있을 거야.
틀림없이 그렇게 돼.
그렇게 되도록 다 정해져있어.
앞으로 무슨일이 일어나도
아무도 스즈메를 방해할 수 없어.
너는 빛 속에서 어른이 될 거야!

언니는 누구야?

나는, 스즈메의 내일이야.
미래의 스즈메가 과거의 스즈메에게
行ってきます。
다녀오겠습니다.
이와토 스즈메
おかえり。
어서와요.
이와토 스즈메

10. 음악

10.1. 사운드트랙

10.2. 삽입곡



[ 스포일러 ]
대부분의 노래가 일본에서 국민적으로 사랑받았던 곡들인데, 감독에 따르면 이는 현실과 영화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다. 영화 중후반 즈음부터 이야기가 판타지스럽게 변하다 보니 관객이 이 내용을 오로지 상상 속의 세계라고만 받아들일 것 같았다고 한다. 하지만 후반에 도호쿠 지역에 가까워질수록 진짜 현실처럼, 우리가 당장 살아가는 세상처럼 느끼게 해야 했다. 그래서 예전에 들어본 적 있는 가요와 팝송을 넣어서 관객의 무의식에 “이곳은 우리가 살아왔고, 살아가는 세계야”라고 알려주려 했다는 것. 마지막 스즈메의 일기장에 2011년 3월 11일이 나온 순간, 관객이 판타지에서 벗어나 우리의 현실을 완전히 인지하는 구조로 설계했다.#

11.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메의 문단속/평가 문서 참고하십시오.

12. 흥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메의 문단속/흥행 문서 참고하십시오.


12.1. 대한민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메의 문단속/흥행/대한민국 문서 참고하십시오.

13. 수상

14. 미디어 믹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메의 문단속/미디어 믹스 문서 참고하십시오.

14.1. BD / DVD

15. 굿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메의 문단속/굿즈 문서 참고하십시오.

16. 이벤트

16.1. 배경화면

롯데시네마에서는 '랜선굿즈'라는 이름으로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일부 장면들을 배경화면으로 만들어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1주차 배경화면
[ 공지 내용 펼치기 · 접기 ]

2주차 배경화면
[ 공지 내용 펼치기 · 접기 ]


배경화면 이미지 적용을 원할 경우, PC에서는 이미지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 올려 둔 뒤,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사진 저장]을 클릭하고, 모바일에서는 이미지를 길게 눌러 [이미지 다운로드]를 눌러 배경화면 이미지를 저장 후 사용하도록 하자.

17. 패러디

18. 기타

  • '문단속'이 테마이어선지 열쇠로 무언가를 잠그는 클로즈업 장면이 많다.
  • 일본 현지 개봉판과 해외 개봉판에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극 중에 지진 경보음이 자주 나오게 되는데 이것에 대한 안내 사항을 고지한 후에 시작한다. 일단 픽션이다보니 똑같은 효과음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유사하게 나오기 때문에 일본인 또는 현지 거주민들에게 있어 상당한 불쾌감이나 PTSD를 일으킬 수 있기에 양해 메시지를 띄운 것이다.(13) 해외판에서는 이 부분이 삭제되어 바로 영화가 시작된다.
  • 한국 개봉일의 경우 공교롭게도 3일 뒤인 2023년 3월 11일은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지 12년이 되는 날이다.
  • 작중 시점은 2023년 9월로, 개봉 시점보다 미래라는 것은 날씨의 아이(2019년 개봉, 작중 시점 2021년) 때와 동일하다. 아무래도 작중 도쿄 문단속 장면에서 언급이 되는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날이 정확히 100년 전의 1923년 9월이었던 점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 작중 등장하는 지역들은 모두 현실에서 재난이 있었던 곳이거나 그 인근이다.(14) 스즈메의 거주지이자 출발지인 첫 지역 미야자키현(규슈)은 직접적인 피해 지역은 아니지만 2016년 구마모토 지진이 있었고, 두 번째 지역 에히메현(시코쿠)에서 잠깐 언급되는 ‘3년 전의 산사태’역시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2020년 7월 일본 서남부 지역에 전례 없는 폭우가 덮쳐 산사태로 마을이 통째로 사라지고, 하천이 범람하여 궤멸적인 피해를 입은 적이 있다.(15) 세 번째 방문지 고베(효고현, 여기서부터는 혼슈)는 말할 것도 없이 그 유명한 1995년의 효고현 남부 지진(16) 피해지역이고, 네 번째 방문지 도쿄도 작중 시점에서 딱 백 년 전인, 작중에서도 언급된 1923년에 관동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었던 지역. 그리고 후쿠시마현, 미야기현을 거쳐 이와테현이 바로 여행의 종착지이자 스즈메의 고향인데, 다름아닌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도호쿠 대지진)피해 지역. 배경지 설정 의도가 다분히 엿보인다. 감독도 해당 재해들을 언급하며 인정했다. 특히 도호쿠지방에 대해, 신카이 마코토 감독은 "동일본 지역에 궤멸적인 피해를 입힌 재앙을 이후의 젊은 세대에게도 알려 주고 싶었다"는 이야기를 전한 바 있다.

    제작 초반까지만 해도 잔존하는 슬픔과 상처를 영화로 다뤄도 될지, 또 일본 관객이 이를 허용해줄지 의문이 들고 불안했다고 한다. 무엇보다 시대적·세대적 트라우마를 남긴 큰 재해이기 때문에 이 영화를 보고 상처받는 사람이 있을 수 있어 걱정이 앞섰다고. 하지만 대지진이 일어나고 12년이 지난 지금 이 이야기를 다루지 않으면 너무 늦어질 것 같았으며,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동일본 대지진을 다루지 않고 넘어가는 것도 부자연스럽다는 생각에 작업을 시작했다고 한다. 또 남쪽이자 서일본에서 출발해 북쪽이자 동일본에 닿는 여정은, 실제 실향민들도 동쪽에서 서쪽으로 많이 이주했기에 이러한 실향의 아픔을 되짚어나가고자 한 의도가 담겨 있다.
  • 관에 따라 자막 차이가 있다. 인트로와 아웃트로의 '스즈메의 문단속' 글자가 한국어로 나오는 관(17)과 일본어로 나오는 관(18)이 다르고, 일반관과 각 특별관의 자막 색(19), 사소한 부연 자막의 차이(20) 가 존재한다.
  • 작중 스즈메가 소타를 구하러 가기로 결심한 후 소타 없는 소타 집에서 샤워를 하고 옷을 입은 후 머리를 묶는 장면은 너의 이름은의 미츠하가 머리를 묶는 장면의 오마주이다.
  • 국내 자막판의 번역은 강민하, 제작은 마젤란미디어팩토리에서 담당하였다.
  • Apple Pay를 이용하는 장면이 나온다.(24)(페리선의 자동판매기, 전철역 통과시의 Apple Pay 모바일 Suica)
  • 미디어캐슬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된 2차 예고편의 조회수가, 그 이전에 엄청난 충격과 공포를 선사하며 채널 영상 조회수 1위를 6년 씩이나 유지하고 있던 너의 이름은 더빙판 티저 예고편을 넘어서며 미디어캐슬 공식 유튜브 조회수 1위 영상 타이틀을 차지하였다.
  • 감독의 전작인 언어의 정원과 마찬가지로 이 작품도 일본의 전통 민속, 특히 신토 신앙에 대한 배경이해가 있으면 좀 더 깊이 감상할 수 있다.
  • 예컨대 본작에서 토지시가 미미즈를 가둘 때 외는 주문은 "'아뢰옵기도 황공한' 신에게 '~돌려드립나이다'"라고 말하는 형식으로 짜여져 있는데, 이는 신사를 폐할 때 거행하는 '승신식'과 같은 맥락이다. 일본 신토 신앙에서 신은 하늘에 있고 신사에 있는 신체(신위)에 강림한다고 여겼는데, 진좌식은 새로 만든 신사의 신체에 신을 깃들게 하는 의식이고 승신식은 이를 하늘로 돌려보내는 의식이다. 역사적으로는 일제강점기 서울에 있었던 조선신궁이 진좌식과 승신식을 다 겪고 해체된 바 있다.
즉 '미미즈'는 '우부스나(토지신)'과 별개의 존재가 아니며사악한 기운이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인간세계의 존재가 아니라 신의 세계의 존재이기 때문에 토지시의 주문은 승신의 형태를 띠는 것이다.
마치 인도 신화의 시바신과도 흡사한 이런 신의 양면성을 신도에서는 아라타마(荒玉)와 니기타마(和魂)#라고 하며 신도에서 제사(마츠리)를 벌이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19. 외부 링크

20. 둘러보기








(1)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두 작품 모두 전작의 캐릭터들이 카메오로 등장했지만 작중 배경들을 생각하면 같은 세계관으로 보기는 어렵다. 또한, 과거 별의 목소리에서의 시리우스의 행성 이름이었던 마치 이세계와도 같은 '아가르타'를 별을 쫓는 아이에서 지구공동설을 기반으로 한 이세계의 이름으로 사용한 사례가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연결점을 만들 수도 있다. 스즈메의 문단속도 이와 비슷할 것으로 추측된다.
(2) 이 작품에 정말로 자신이 없는 듯한 뉘앙스로 말을 하고 있다.
(3) 2023년 3월 8일 한국 시사 무대인사중 집에서 일년 반 동안 혼자 집에서 비디오콘티를 짰다고 감독이 직접 밝혔다. 그 덕에 감독이 콘티에 대사를 넣기 위해 연기를 직접 할 때 부인과 딸이 놀라서 방으로 뛰어들어왔다는 에피소드를 전했다.
(4) 다이진세토 대교를 건널 때 뉴스에서 사용된 배경음악
(5) 신코베역 앞에서 스즈메와 루미가 헤어지는 장면. 산요 신칸센하행 방향 발차 멜로디 버전이 삽입되었다.
(6) 마녀 배달부 키키 OST로도 수록된 곡이다.
(7) 그 남자 그 여자 엔딩곡으로도 리메이크 되었고, 이 리메이크곡이 한국에서도 번안이 되었다.
(8) 최종적으로는 본상 미수상(무관)이지만, 초청 자체로 큰 업적이다.
(9) 최우수상은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가져갔다.
(10) 제목을 이 작품과 비슷하게 지었다. 스드메는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을 뜻한다.
(11) 에로 영화이다. 결국 청불 판정을 받았다.
(12) 전북 현대의 처참한 경기력에 분노한 팬들이 버스를 막았지만 김상식 감독이 어떤 해명도 없이 버스 문을 굳게 잠그고 커튼까지 내려가면서 2시간을 버틴 것을 풍자하는 내용이다.
(13)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이러한 공지사항을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14) 때문에 당시 재난을 실제로 겪은 이들이 영화를 관람하고 PTSD를 호소하자, 이후 표를 구매하는 곳에서 동일본 대지진 관련 묘사가 영화 내 존재한다는 메세지를 삽입했다. 물론 감독도 어느 정도는 신경을 써서 실제 실향민 피해자들이 상처받지 않는 방식이 무엇인지 오랫동안 고민했다고 한다. 쓰나미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는 일절 넣지 않았고,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순간도 스즈메의 일기장 속 음성같이 청각적으로만 표현한 것이 그 때문이라고 한다. 스즈메의 경험과 감정은 그 자체로 진실되게 보여주려 했으며, 이 현실적인 감정은 스즈메의 모험이 시작돼야만 하는 당위성을 납득시킬 중요한 배경이면서 관객이 재해를 직접 겪지 않더라도 영화의 의미와 재해의 아픔을 이해할 수 있는 열쇠이기도 하기 때문이었다.#
(15)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자연재해다. 산사태, 하천 범람, 도로 파괴, 침수, 교량 유실 등 호우로 인한 문제가 심각했고 특히 에히메현과 히로시마현의 피해가 극심했다.
(16) 속칭 고베 대지진. 일본에서는 한신 아와지 대지진이라고도 불린다.
(17) 일반관, CGV 4DX관 등
(18) Dolby Cinema관, IMAX관 등
(19) 일반관의 노래 가사 자막은 흰색, Dolby Cinema관은 회색, IMAX관은 노란색이다
(20) 고베 술집에서 사사키 씨의 키핑 술병을 찾을 때 등
(21) 단, 신카이 마코토의 최초 작품인 그녀와 그녀의 고양이에서는 그녀 혹은 고양이라고 등장하기 때문에 예외다.
(22) 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스즈메의 문단속 개봉 기념으로 방한하여 관객 질문을 진행하였을 때 한 관객이 “이 작품이 주인공의 이름이 들어가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라고 질문하자 감독은 이번 작품은 스즈메의 시점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작품이기 때문에 스즈메의 이름을 작명에 넣었다 답변하였다.
(23) 일본에서 유명한 구두회사로, 학생들의 로퍼로 많이 선택되고 직장인들도 많이 신는다. 한국에선 NewJeans가 Ditto 뮤직비디오에서 신고 나와 유명해졌다.
(24) 공교롭게도 영화 한국 개봉 후 절찬상영 시기에 한국에서도 Apple Pay가 3월 21일날 정식출시를 하였다.